신속통합기획 1차 후보지인 청량리동19번지가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지정을 위한 법적 절차에 착수했다. 올해 3월 서울시가 발표한 신속통합기획(안)에 따르면 약 930세대가 주택공급 물량으로 예상됐지만, 정비계획(안) 상으로는 843세대 정도로 감소했다.
4일 정비업계 따르면 동대문구청 주거정비과는 청량리동19번지(김성경 추진준비위원장)의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정비계획(안) 결정과 관련, 주민 및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이달 10일(화)까지 공람공고를 진행한다. 정비계획(안) 상 예상 세대 수는 843세대로, 토지등소유자(약 316명)와 임대주택예상 건립 세대 수(188세대)를 빼면 일반분양분은 약 340세대 정도가 나올 전망이다.
사업대상지 면적은 28,647㎡며, 공동주택 획지 및 정비기반시설 용지는 각각 25,524㎡, 3,123㎡로 구성된다. 정비기반시설은 다시 ▲도로(2,538㎡) ▲사회복지시설-어린이집(311㎡) ▲사회복지시설-노인복지관(273㎡) 등으로 계획이 수립됐다. 용도지역은 기존 제2종(7층이하)·제2종일반주거지역에서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종상향 된다.
총 주택공급 물량은 843세대로, ▲조합원·일반분양(655세대) ▲의무 임대주택(86세대) ▲기부채납 임대주택(15세대) ▲국민주택규모 임대주택(87세대)으로 이뤄진다. 의무 임대주택은 주택 전체 세대 수(법적상한 증가분 제외)의 15%에 해당한다. 전체 세대 수(843세대)에서 법적상한 증가에 따른 주택 증가분(275세대)을 뺀 568세대의 15%는 85.2세대로 계산된다. 의무 임대주택 수가 86세대가 나온 배경이다. 의무 임대주택은 전용 39㎡와 전용 49㎡가 각각 56세대, 30세대다.
국민주택규모 임대주택은 법적상한용적률(299.87%)에서 상한용적률(225.80%)을 뺀 74.07%의 절반만큼 지어야 한다. 공동주택 획지(25,524㎡)의 용적률 37.035%를 곱하면 약 9,452㎡만큼 나온다. 연면적 9,452㎡만큼 국민주택규모 임대주택을 지어야 한다. 국민주택규모 임대주택은 ▲59㎡(18세대) ▲75㎡(31세대) ▲84㎡(38세대)로 구성되며, 연면적 합계는 9,458㎡다.
공공보행통로(폭 6m)는 제기로변과 사회복지시설을 연결하게 된다. 용적률 체계는 ▲기준용적률(190%) ▲허용용적률(200%) ▲상한용적률(225.8%) ▲법적상한용적률(299.87%) 등으로 계획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