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줌 구글
메뉴

재개발·재건축 현장을 발로 뛰며, 겸허한 자세로 정보를 기록합니다. 속도와 깊이를 중시하는 언론사입니다.

용산 강변강서, 공공재건축 '뱃머리' 돌린다…30년만 활로 찾을까

 

용산구에 소재한 강변강서가 SH형 공공재건축을 통해 사업 활력 찾기에 나선다. 준주거지역으로의 종상향을 전제로 개발 방향을 수립하고 있는 가운데, 사업기간을 최대한 단축시켜야 향후 조합원 분담금을 조금이라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7일 정비업계 따르면 용산구청은 최근 강변강서 공공재건축 사업을 위한 사전기획(안) 설명회를 가졌다. PT 발표는 도시계획업체인 건영씨앤피에서 맡아 수행했다. 공공재건축은 서울주택도시공사와 30여년 전 설립된 조합의 공동사업방식으로 진행된다. 공공재건축 인센티브로는 ▲용도지역 상향 ▲층수 완화 ▲특별건축구역 적용 ▲공원설치 의무 완화 ▲사업기간 단축 등이 꼽힌다.

 

용산 강변강서의 구역면적은 4,402㎡로, 인근 나대지가 편입되면서 기존 대비 626㎡가 늘어났다. 용도지역은 기존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1단계 종상향이 이뤄질 예정이며, 최고층수는 33층 이하로 계획이 잡혀있다. 기부채납 순부담률은 전체 구역면적의 21.86%로, 총 962.5㎡에 해당한다. 이는 한강변 공공기여(10%)와 용도지역 종상향에 따른 기부채납(11.77%) 등으로 이뤄진다.

 

대상지의 용적률 체계는 ▲기준용적률(200%) ▲허용용적률(317.7%) ▲상한용적률(363.8%) ▲법적상한용적률(397.1%) 등으로 수립할 예정이다. 기준용적률은 이촌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으로 지정됐으며, 허용용적률은 과밀단지 현황용적률을 허용용적률로 인정받아 결정됐다. 상한용적률에서 법적상한용적률까지의 인센티브 절반은 공공임대로, 나머지는 공공분양으로 공급된다.

 

계획 세대수는 총 204세대다. 조합원·일반분양분은 180세대, 임대물량분은 24세대다. 조합원물량을 감안하면 일반분양 수는 거의 없다. 사실상 1:1 재건축인 셈이다. 공공주택의 경우, ▲기부채납(14세대) ▲공공분양(5세대) ▲공공임대(5세대)로 분류된다. 모든 건축계획은 건축심의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추정비례율은 24.27%로 예상됐다. 주민들은 본인이 소유한 종전자산감정평가액에 추정비례율(24.27%)을 곱한 권리가액을 기준으로 개략적인 추정분담금 혹은 환급금을 파악할 수 있다. 조합원 분담금은 공사비를 3.3㎡당 800만원대로 책정할 경우 세대당 7.7억원 수준이다.


[하우징워치 뉴스 앱] - 한번의 터치로 정비사업 뉴스를

  • ① 아이폰(애플스토어)과 안드로이드폰(구글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한다.
  • ② 검색창에 하우징워치를 입력한다.
  • ③ 다운로드 후 이용한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한번의 터치로 하우징워치 뉴스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