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구 알짜 입지에 속한 서계동 통합구역이 본격 날갯짓을 위한 법정 단체(추진위원회) 구성을 시작했다. 해당 사업장은 지난 2022년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2차 후보지 선정을 기점으로 재개발 사업에 착수했고, 이후 준비위원회를 구심점으로 똘똘 뭉치며 원만한 사업 전개로 주목받았다. 서계동 통합구역은 올해 12월 추진위원회 승인을 목표로 설정했고 이듬해 상반기 내 조합설립까지 매듭 짓겠다는 방침이다.
27일 정비업계 따르면 용산구청은 정비사업 공공지원자 지위로 최근 서계동 통합구역의 추진위원회 구성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진행했다. 초기 사업을 지원할 정비업체로는 화성씨앤디㈜가 낙점됐다. 화성씨앤디㈜는 추진위원회 구성에 필요한 제반 절차가 원만하게 이행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용역기간은 추진위원회 구성까지다. 서계동 통합구역은 추진위원회 구성 이후 주민총회를 거쳐 정비업체와 설계사를 뽑게 된다.
추진위원회 구성을 위한 필요한 도정법 상 법적 동의율은 전체 토지등소유자의 50% 이상이다. 추진위원회 구성에 동의한 토지등소유자는 조합설립에도 찬성한 것으로 간주된다. 추진위원회는 ▲추진위원장(1인) ▲감사(1인) ▲추진위원(100명~190명) 등으로 구성된다. 추진위원장과 감사 후보가 1인 단독 출마로 이뤄질 경우 합동연설회 등의 선거 일정은 생략된다. 이 경우 추진위원회 구성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서계동 통합구역 준비위원회(윤희화 준비위원장)는 지난 2022년 12월 신속통합기획 후보지(2차) 대열에 합류했고, 2024년 2월 신속통합기획(안)을 마련했다.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정비계획(안) 수립에 집중했고, 신속통합기획(안)을 마련한 당해연도에 서울시 도계위를 통과했다. 이듬해 4월 서울시로부터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안) 결정고시를 받아냈다. 연내 추진위원회 구성을 마친 뒤, 내년 상반기 내 조합이 설립될 전망이다.
해당 사업장은 구역면적만 약 112,953㎡로, 토지등소유자만 약 1,900명에 달할 만큼 규모가 크다. 현 시점, 재개발을 통해 공급될 예상 주택물량은 총 2,691세대로, 이중 조합원·일반분양 주택은 2,103세대다. 전용면적별 유닛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세대 수는 달라지기 때문에, 현 시점에선 개략적인 내용으로 참고하면 된다. 향후 발족하게 될 조합에서 조합원들의 평형 선호도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내용들을 결정하게 된다.
용산 서계동 33번지 일대는 지하철 1·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등 서울역이 인접해 뛰어난 입지를 자랑하며, 남산 N서울타워 조망권이란 지리적 특징도 눈에 띈다. 하지만 서계동은 초역세권이란 말이 무색하게 '용산구의 슬럼'이라 불릴 정도로 서울의 대표적인 낙후 지역으로 인식된다. 특히 구릉지역인 대상지는 전형적인 달동네를 연상케 해 재개발이 시급한 곳으로 손꼽힌다. 이에, 주민들의 재개발 염원도 역시 높은 편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