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줌 구글
메뉴

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역촌동 구산역세권, 준주거로 종상향…사업성·공공성 균형점 모색

 

역촌동 구산역세권이 도시정비형 재개발 '역세권 시프트' 사업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대상지는 1차 역세권 범위(승강장 기준 350m) 내 포함되면서 용적률 인센티브 확보를 비롯해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이 가능하다. 대신 개발된 물량의 일부는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해야 하는 만큼, 사업성과 공공성의 적절한 균형점을 조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10일 정비업계 따르면 최근 은평구청의 주관 하에 '역촌동 구산역세권'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지정을 위한 주민설명회가 개최됐다. 이른 오전 시간이었지만, 현장엔 다수 토지등소유자들이 자리를 가득 메우며 재개발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현재 이곳의 토지등소유자수는 663명으로 집계됐다.

 

은평구 역촌동 13-4번지 일대의 구역면적은 48,017㎡로, 구산역으로부터 350m 이내에 전체면적의 98.6%가 속한다. 사업대상지가 1차 역세권에 해당되면 2·3종 일반주거지역은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을 할 수 있다. 대상지의 최고층수는 35층이하(105m이하)로 계획이 잡혔다.

 

 

토지이용계획(안)을 살펴보면, 주택용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로 ▲공원 ▲주차장 등으로 채워진다. 우선 공원 일부가 공영주차장으로 중복결정되는데, 70대 가량의 주차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공원 옆으로는 경로당이 마련될 예정이다.

 

대상지의 용적률 체계는 ▲기준용적률(190.5%) ▲허용용적률(190.5%) ▲상한용적률(222.3%) ▲법적상한용적률(448.1%) 등으로 수립됐다. 상한용적률에서 법적상한용적률까지의 인센티브 절반은 공공기여로, 나머지는 분양물량으로 공급된다. 장기전세주택 공급계획은 서울시 주거환경정책을 준수하게 된다.

 

예상되는 주택공급물량은 1,534세대로, 의무임대주택은 전체 세대수의 15% 수준인 115세대로 책정됐다. 이어 장기전세주택은 449세대로 책정됐다. 분양물량은 970세대로 ▲52㎡이하(72세대) ▲59~85㎡이하(852세대) ▲105㎡(46세대) 등으로 구성된다. 주택규모는 향후 사업시행인가 시 건축심의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추정비례율은 101.36%로 산정됐다. 평당공사비와 일반분양가(84타입 기준)는 주변 시세와 물가상승률, 지형적 특성 등을 고려해 765만원, 3,200만원 수준으로 예측됐다. 조합원분양가는 일반분양가의 85% 수준으로 나타났다. 만약 종전자산(토지+건물)이 평균 7.1억원인 소유주가 84㎡ 아파트를 분양받을 경우 2.16억원의 분담금이 발생한다.

 

한편 역촌동 구산역세권은 구역지정을 앞두고 오는 8월 주민투표를 거쳐 '추진위원회 방식'과 '조합직접설립제도 방식' 중 하나의 사업방식을 택해 사업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하우징워치 뉴스 앱] - 한번의 터치로 정비사업 뉴스를

  • ① 아이폰(애플스토어)과 안드로이드폰(구글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한다.
  • ② 검색창에 하우징워치를 입력한다.
  • ③ 다운로드 후 이용한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한번의 터치로 하우징워치 뉴스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