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촌동 구산역세권이 도시정비형 재개발 '역세권 시프트' 사업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대상지는 1차 역세권 범위(승강장 기준 350m) 내 포함되면서 용적률 인센티브 확보를 비롯해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이 가능하다. 대신 개발된 물량의 일부는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해야 하는 만큼, 사업성과 공공성의 적절한 균형점을 조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10일 정비업계 따르면 최근 은평구청의 주관 하에 '역촌동 구산역세권' 정비계획(안) 수립 및 구역지정을 위한 주민설명회가 개최됐다. 이른 오전 시간이었지만, 현장엔 다수 토지등소유자들이 자리를 가득 메우며 재개발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현재 이곳의 토지등소유자수는 663명으로 집계됐다.
은평구 역촌동 13-4번지 일대의 구역면적은 48,017㎡로, 구산역으로부터 350m 이내에 전체면적의 98.6%가 속한다. 사업대상지가 1차 역세권에 해당되면 2·3종 일반주거지역은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변경을 할 수 있다. 대상지의 최고층수는 35층이하(105m이하)로 계획이 잡혔다.

토지이용계획(안)을 살펴보면, 주택용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로 ▲공원 ▲주차장 등으로 채워진다. 우선 공원 일부가 공영주차장으로 중복결정되는데, 70대 가량의 주차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공원 옆으로는 경로당이 마련될 예정이다.
대상지의 용적률 체계는 ▲기준용적률(190.5%) ▲허용용적률(190.5%) ▲상한용적률(222.3%) ▲법적상한용적률(448.1%) 등으로 수립됐다. 상한용적률에서 법적상한용적률까지의 인센티브 절반은 공공기여로, 나머지는 분양물량으로 공급된다. 장기전세주택 공급계획은 서울시 주거환경정책을 준수하게 된다.
예상되는 주택공급물량은 1,534세대로, 의무임대주택은 전체 세대수의 15% 수준인 115세대로 책정됐다. 이어 장기전세주택은 449세대로 책정됐다. 분양물량은 970세대로 ▲52㎡이하(72세대) ▲59~85㎡이하(852세대) ▲105㎡(46세대) 등으로 구성된다. 주택규모는 향후 사업시행인가 시 건축심의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추정비례율은 101.36%로 산정됐다. 평당공사비와 일반분양가(84타입 기준)는 주변 시세와 물가상승률, 지형적 특성 등을 고려해 765만원, 3,200만원 수준으로 예측됐다. 조합원분양가는 일반분양가의 85% 수준으로 나타났다. 만약 종전자산(토지+건물)이 평균 7.1억원인 소유주가 84㎡ 아파트를 분양받을 경우 2.16억원의 분담금이 발생한다.
한편 역촌동 구산역세권은 구역지정을 앞두고 오는 8월 주민투표를 거쳐 '추진위원회 방식'과 '조합직접설립제도 방식' 중 하나의 사업방식을 택해 사업을 이어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