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산·시흥동 일대 5곳이 신속통합기획을 통한 미니 신도시급 주거단지로 재개발될 전망이다. 기반시설 연계배치, 동서 교통망 확충 등이 예상되면서 유연한 도시계획이 펼쳐질 것이란 기대감도 조성되고 있는 분위기다.
서울시는 금천구 시흥동 810일대를 기점으로 동측에 위치한 독산·시흥동 일대 5개소(44만㎡ 규모)에 대해 신속통합기획을 수립·추진 중이라고 9일 밝혔다. 동서 지역 간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도시 활력을 확산시키고, 개발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취지에서다.
대상지들은 장기간 개발이 정체되면서 기반시설 부족함과 주거환경 불편함으로 주민 불만이 컸던 지역이다. 특히 시흥대로-독산로 등 남북 축을 중심으로 도시구조가 형성되면서 동서 간 연결이 단절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즉 서측 대비 동측의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지 못한 것이다.
이에 서울시는 대책마련을 강구했고, 이번 신통기획을 토대로 도시 전반의 구조적 변화를 꾀했다. 시는 독산동 1036(1구역)·1072(2구역) 일대 연접한 2개소의 신통기획을 추진해 시흥대로와 독산로를 연결하는 동서도로 신설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이동편의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또 전 세대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맞춤형 공원, 아동·노인복지시설를 두루 갖춰 생활편의성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독산1구역 내의 독산초와 연접한 기존 공원은 스쿨파크로 확대 조성되며 새로 설치되는 공원은 독산2구역에 분산배치된다. 기반시설의 경우 독산2구역과 독산1구역에 각각 아동복지시설과 노인돌봄시설이 들어선다. 부모와 자녀가 함께 공유 가능한 '3대 거주형 주거단지'가 마련되는 셈이다.
사업성 차원에서 대상지의 용도지역은 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종상향이 진행된다. 물론 사업성 보정계수도 두곳 모두 최대치(2.0)에 가깝게 적용받게 된다. 미니 신도시급 주거단지의 중앙은 최고 40층 내외의 고층으로 조성되며, 학교 인근 또는 길가의 경우 중저층으로 층수가 계획될 예정이다.

현재 독산1·2구역은 지난달 신통기획(안) 관련 주민설명회를 성황리에 마친 가운데, 정비구역 결정고시를 목표를 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상황이다. 독산1구역은 신탁방식, 독산2구역은 조합방식을 각각 택해 재개발 정비사업을 이끌고 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독산·시흥동 일대는 기획 초기부터 생활권 단위의 기반시설 확충에 초점을 두고 지역맞춤형 통합 정비계획을 수립한 사례"라며 "오랜 기간 개발에서 소외돼 불편을 겪어온 주민들이 도시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후속 절차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