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재건축 현장을 발로 뛰며, 겸허한 자세로 정보를 기록합니다. 속도와 깊이를 중시하는 언론사입니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일대 2종 일반주거지역의 높이 규제가 완화되면서 최고 13층 높이의 아파트가 들어설 계획이다. 서울시는 제16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서초구 서초동 1478-13 외 2필지 공동주택(아파트)의 평균층수 완화 심의(안)에 대해 조건부 가결 했다고 5일 밝혔다. 대상지는 제2종 일반주거지역(7층 이하)으로 기존 건축물 3개 동, 27가구 규모의 노후 연립주택이 있었다. 2022년 7층 규모로 아파트 건축을 계획했으나 평균 층수를 11층 이하로 완화 적용하기 위해 이번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 상정됐다. 이번 심의 결과에 따라, 대상지에는 평균 11층, 최고 13층의 총 49가구 아파트를 건축하게 됐다. 보행자의 보행편의를 위해 쌈지형 공지 설치 계획 등이 포함됐고, 향후 건축계획은 구 건축위원회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날 시는 8·8 대책 발표 당시 지정했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전면 해제하기도 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기 위해 지정되는 지역으로, 일정 규모 이상 부동산을 거래할 때 해당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강남구·서초구 자연녹지지역 내 허가 구역(27.29㎢) 중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노후 단지인 수정·진주아파트가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나란히 통과하면서, 초고층 추진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수정아파트는 최고 49층, 진주아파트는 최고 57층 규모로 계획 중이며, 두 곳 모두 용적률 503%가 적용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 4일 제16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여의도 진주·수정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5일 밝혔다. 우선 1976년 준공돼 노후화한 여의도 수정아파트(영등포구 여의도동 32번지 일대)는 최고 49층, 498가구(임대 61가구) 규모로 재건축된다. 일반상업지역으로, 503%의 용적률이 계획됐다. 한강변에 위치한 여의도 도심주거지로서 형태와 평면, 층수를 다양화하는 등 우수한 수변경관이 창출될 수 있도록 했다. 또 인근 신축 단지인 브라이튼 여의도와 연계되는 공공보행통로를 조성하는 등 주변지역과 소통하는 단지로 거듭날 예정이다. 정비계획안에는 '여의도 금융중심 지구단위계획'의 금융지원기능 육성으로 '서울투자진흥재단'의 공공청사를 공공기여시설로 확보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에 따라 금융산업클러스터 인프라가 구축되고 세계 5위의 글로벌 금융허브로 도약할 것으로
용산 핵심 입지인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내에 들어서는 용산 아세아아파트가 최고 36층 997세대 대단지로 거듭난다. 또 성동구 성수동 이마트 부지에는 영국 건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의 혁신 건축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 3일 열린 제19차 건축위원회에서 '아세아아파트 특별계획구역 주택건설사업'에 대한 건축심의를 통과시켰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심의에 통과된 곳은 ▲아세아아파트 특별계획구역 주택건설사업 ▲성수동2가 333-16번지 일대 업무시설 신축 ▲이수역세권 장기전세주택사업이다. 총 1,941가구(공공주택 241가구, 분양주택 1700가구)의 공동주택과 업무시설 및 문화·집회시설이 조성된다. 한강로3가에 위치한 아세아아파트 특별계획구역은 10개동 지하3층-지상36층 규모로 공동주택 997가구와 공공기여시설(체육시설)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단지 저층부에는 국토교통부와 주한미대사관 간 MOU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미 대사관 직원숙소 150가구(기부채납)가 마련될 계획이다. 시는 다채롭고 입체적 수변경관 창출을 위해 대상지를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하고, 단지 내·외부 일조를 개선하는 배치계획을 수립했다. 아울러 주변 개발 계획과 연계성·정합성을 확보해 열
20년 이상 노후건축물이 즐비한 응암3동 일대에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다. 주택가에는 재개발을 통해 총 3,000가구가 공급되고, 전통시장에는 총 74억원이 투입돼 시설개선이 이뤄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달 28일 제5차 도시재생위원회를 열고 응암3동 754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을 원안 가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응암3동 일대는 2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이 91.2%에 이르고 지속적인 인구 감소와 사업체 이탈로 상권이 침체하고 있다. 2019년 4월 일반근린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됐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응암3동에서 3,000가구 규모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유동 인구는 많지만 시설이 낡고 보행 환경이 열악한 대림시장 골목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을 연계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전체적으로 균형있는 정비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대림골목시장의 경우, 소방시설 확충과 소상공인 아트테리어(예술적 요소를 활용해 공간을 장식하는 일) 등 디자인 개선 지원사업이 이뤼진다. 또 대림시장에는 옥상 카페테리아를 조성하고 ▲간판 개선 ▲환기 시설 설치 ▲지하 매설식 소화함 설치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주차난을 해소할 공영주차장도 들
총회원스탑을 운영 중인 ㈜레디포스트(대표 곽세병)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한 '2024 전자문서 유공 포상'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레디포스트의 금번 수상은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총회 업무 과정을 전자화하며, 의사결정의 신속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킨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 전자문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셈이다. 상업용 집합건물 분야에서 더 나아가, 정비사업 부문의 전자문서 활성화에 나선 선두 업체가 ㈜레디포스트다. 곽세병 ㈜레디포스트 대표는 시상식에서 직접 전자투표 활성화 사례를 발표하며,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과 호응을 이끌어 냈다. 메인 서비스는 전자적 의결 서비스인 '총회원스탑'으로, 해당 서비스는 국내 최초 국토교통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실증 규제특례를 받았다. 공인기관이 본인검증부터 보관까지 맡기에, 위·변조가 원천적으로 불가하다. 그만큼 안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총회 통지부터 당일 출석, 투표도 모두 전자 서비스로 가능하게끔 기술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각 조합들이 장기적으로 겪었던 '정족 수 확보 이슈' 등을 해소할 것이라는 게 ㈜레디포스트의 설명
롯데건설이 성북구 삼선5구역 재개발을 통해 선보이는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한다. 2일 청약홈에 따르면 이달 9일(월)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10~11일에는 일반공급을 시작한다. 당첨자는 12월17일(화) 발표된다. 총 4개타입 ▲59A(54세대) ▲59B(97세대) ▲59C(218세대) ▲84(140세대) 등으로 나뉜다.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59㎡와 84㎡로만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총 509세대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물량은 249세대, 260세대로 나뉜다. 59타입의 분양금액은 최소 9억9,480만원에서 최대 10억9,740만원으로 동호수에 따라 가격 차이를 보인다. 국민평형인 84타입의 경우 최소 13억730만원에서 최대 13억9,000만원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발코니 확장금액은 전평형 모두 무상으로 제공된다. 현 시점에서 입주예정일은 2027년 4월로, 정확한 입주일자는 추후 통보된다. 1순위 청약은 청약통장 가입기간 12개월 이상, 지역별·면적별 예치금을 충족한 만 19세 이상의 서울시 및 경기도, 인천광역시 거주자라면 보유 주택 수와 관계없이 세대주·세대원·유주택자 모두 신청할 수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이 광운대 역세권 개발사업을 통해 공급하는 '서울원 아이파크' 특별공급에 7000명이 넘는 수요가 몰려 눈길을 끈다. 특별공급에서 수요자들의 많은 관심이 이어지면서, 1~2순위 청약도 높은 경쟁률이 예상된다. 2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원 아이파크 특공 접수 결과, 490가구 모집에 7,388명이 신청하면서 평균 경쟁률 15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생애 최초 유형 신청자가 4,565명으로 가장 많았고, 신혼부부 2,204명, 다자녀가구 515명, 기관추천 63명, 노부모 부양 41명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13가구가 공급된 59㎡A 타입에 가장 많은 신청자가 몰린 가운데, 해당 타입의 생애 최초 특별공급은 2가구 모집에 3,588명이 몰리며 경쟁률이 1,794대 1에 달했다. 5가구가 배정된 신혼부부 공급에도 671명이 신청했다. HDC현대산업개발 분양관계자는 "본격적인 공급과 함께 수만 명에 달하는 수요자들의 발길이 이어졌으며, 특별공급에도 청약경쟁이 이뤄진 만큼 1순위 청약도 치열한 청약경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울원 아이파크는 지하 4층∼지상 47층 6개 동, 전용면적 59∼244㎡ 1,856가구로 구성되며,
서울시가 압구정동(압구정2구역)과 서초동(서초진흥), 방배동(방배신삼호) 등 강남에서 추진되는 노후 아파트 재건축을 동시에 허가해 눈길을 끈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제12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소위원회를 열고 압구정2구역 정비구역·정비계획 결정(변경), 압구정아파트지구 개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계획 및 경관심의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압구정2구역은 서울시에서 지난해 7월, 압구정2~5구역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한 후 올해 3월과 5월 두 차례 신속통합기획 자문을 거쳐 16개월만에 정비계획안을 수립해 심의를 완료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압구정동 434 일대 압구정2구역은 용적률 300% 이하, 최고 높이 250m, 12개 동, 2,606세대(공공임대 321세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단지가 서울 한강 중심부에 위치해있음에도 '판상형 아파트'로 획일적인 경관을 형성해 많은 비판을 받아온 만큼, 개성 있는 경관을 만들어낼 수 있게 층수를 풀었다. 가구별 천정고 2.8m, 층고 3.3m를 전제로 계산하면 최고 층수 70층이 허용된다. 지난해 조합의 설계자 선정 입찰 기준은 200m로 제한됐으나, 이번에 250m까지 완화된 것이다. 또 강남·
DL이앤씨가 이달 방배삼익 재건축 물량인 '아크로 리츠카운티'를 분양할 것으로 보인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해당 단지의 전용면적 84㎡ 분양가는 21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변 시세 대비 8억원이 저렴한 가격인 만큼, 향후 청약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청약홈에 따르면 내달 9일(월)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10~12일에는 일반공급을 시작한다. 당첨자는 12월18일(수) 발표된다. 총 6개타입 ▲44(20세대) ▲59(73세대) ▲75A(16세대) ▲75B(17세대) ▲84D(12세대) ▲144(2세대) 등으로 나뉜다. 총 140세대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물량은 69세대, 71세대로 나뉜다. 59타입의 분양금액은 최소 14억8,730만원에서 최대 16억7,630만원으로 가격에 차이를 보인다. 75타입의 경우 최소 19억8,340만원에서 최대 20억6,600만원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또 84타입은 최소 20억7,890만에서 최대 21억7,120만원까지 가격이 분포됐다. 확정 분양가는 34평 기준으로 평당 약 6,170만원이다. 방배동 '디에이치방배'와 비교하면 평당 가격이 300만원가량 낮은 수준이다. 아크로 리츠카운티가 들어서는 서초구
현대건설이 이달 '힐스테이트 등촌역' 분양에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현재 등촌역 일대는 재건축·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이마트 가양점 개발사업과 CJ공장부지 개발사업 등도 추진되고 있어 수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26일 청약홈에 따르면 내달 5일(목)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6~9일에는 일반공급을 시작한다. 당첨자는 12월13일(금) 발표된다. 총 5개타입 ▲59A(89세대) ▲59B(14세대) ▲84A(89세대) ▲84B(29세대) ▲84C(53세대) 등으로 나뉜다. 총 274세대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물량은 135세대, 139세대로 나뉜다. 59타입의 분양금액은 최소 10억3,400만원에서 최대 11억4,000만원으로 동과 층수에 따라 가격이 나뉜다. 84타입의 경우 최소 13억1,600만원에서 최대 14억5,400만원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상기 공급금액은 발코니 확장비용 및 추가선택품목 미포함 금액이며, 주택공급계약 체결 시 별도 계약을 통해 선택이 가능하다. 발코니 확장금액은 59A(1,015만원) ▲59B(1,090만원) ▲84A(1,331만원) ▲84B(1,222만원) ▲84C(1,420만원) 등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현 시점에서 입주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