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취재로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균일화된 기사 품질을 추구합니다. 당사는 공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며, 조합으로부터 광고비는 받지 않습니다.
서울시는 정비사업 진행 과정에서 불거지는 공사비 증액을 둘러싼 분쟁을 차단하고, 공공 지원을 강화하는 '공사계약 종합 관리방안'을 마련한다고 27일 밝혔다. 공사계약 종합 관리방안은 ▲조합정관 개정 ▲정비사업 공사표준계약서 개정 ▲증액 예상사업장 사전협의 유도 ▲공사비 증액 사유발생 신고제 등 4개 부문으로 구체화된다. 우선, 관리처분계획(안) 변경인가를 위한 공사비 검증을 입주예정시기 1년 전까지 착수하도록 조합정관 개정을 유도할 방침이다. 보통 공사비 변경을 위한 관리처분계획(안) 변경인가는 6개월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적기에 착수해야 준공 전 공사비를 확정할 수 있다. 공사계약을 체결할 때 근간이 되는 '정비사업 공사 표준계약서'도 개정키로 결정했다. 공사비 증액사유가 생기면 한국부동산원과 SH공사 등으로부터 검증을 받고, 검증결과를 필수 기재하도록 의무규정도 만든다. 그동안은 공사비 검증 결과를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는 규정이 없어 검증이 끝난 뒤에도 갈등이 해소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현 시점에서 시공사 선정을 마친 정비사업장에 대한 실태 전수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향후 공사비 증액을 두고 분쟁이 예상되는 사업장은 선제적으로 사전협의를 유도할 방침이며
송파구 거여새마을(거여동 549번지 일대)이 공공재개발 후보지 최초로 구역지정을 받은 가운데, 주민대표기구 구성을 위한 제반 절차에 전념하고 있다. 지난 2년간 거여새마을 공공재개발을 무보수로 추진해 온 주민봉사단 구성원들이 주민대표회의를 구성해 사업의 연속성을 이어갈 수 있을지 업계 관심이 모아진다. 27일 업계 따르면 거여새마을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업시행자 선정 과정을 마치고 주민대표기구(이하 주민대표회의) 구성을 위한 제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제47조(주민대표회의) 1항에 따르면, 토지등소유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사업시행을 원할 경우에는 정비구역 지정·고시가 난 후에 주민대표기구를 구성해야 한다고 기재돼 있다. 주민대표회의는 위원장을 포함해 5명 이상 25명 이하로 구성되며, 토지등소유자들의 50% 동의를 얻어야 한다. 주민대표회의 구성을 송파구청으로부터 신청받기 위해서는 ▲운영규정 ▲구성 동의서 ▲위원장·부위원장·감사 주소 및 성명 ▲위원장·부위원장·감사의 선임을 증명하는 서류 ▲토지등소유자 명부 등의 제반 서류가 필요하다. 운영규정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운영규정 표준(안)을 근간으로 거여새마을 현황에 맞게끔 만든다.
마천1구역이 합리적인 토지이용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재정비촉진계획(안) 변경을 추진한다. 2020년 1월 고시된 재정비촉진계획(안)을 통해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기존 재정비촉진계획(안)에 따르면, 구릉지인 획지3-1(산5번지)은 제1종일반주거지역으로 되어 있어 층수를 4층까지밖에 올릴 수 없게 돼 있다. 마천1구역은 구역 내 용도지역을 1단계씩 종상향한다는 복안이다. 27일 업계 따르면 마천1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 조합은 다음 달 15일(토) 오후 2시 송파구민회관에서 2023년 정기총회를 개최한다. 총회 안건으로는 ▲제1호 안건(조합 기 수행업무 추인) ▲제2호 안건(재정비촉진계획 변경) ▲제3호 안건(2023년 조합 운영비 예산안) ▲제4호 안건(2023년 조합 사업비 예산안) ▲제5호 안건(자금의 차입) ▲제6호 안건(조합 정관 변경) ▲제7호 안건(총회 의결사항 중 대의원회 위임)이 상정된다. 이중 마천1구역 조합원들의 사업성을 좌우할 주요 안건으로는 제2호 안건이 꼽힌다. 서울시가 3년 전 고시한 기존 재정비촉진계획(안)에 따르면, 마천1구역 주택공급계획은 총 2,413세대(임대주택 395세대 포함)다. 구릉지에 위치한 획지3-1
'도로 확보'를 전제로 교통영향평가 심의를 넘어선 한남5구역이 토지등소유자들이 추정분담금을 산출할 수 있는 지표인 비례율을 공개해 관심을 모은다. 한남5구역은 작년 12월 교통영향평가 심의를 조건부로 통과할 당시, 도로 추가 확보 내용을 반영한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을 먼저 진행하고 건축심의를 진행키로 용산구청과 협의한 바 있다. 26일 업계 따르면 한남5구역의 추정 비례율은 103.12%로 산출됐다. 총수입 추정액은 4조8,244억원, 총지출 추정액은 1조9,079억원이다. 조합원들의 추정 종전자산평가금액은 약 2조8,282억원이다. 사업성을 엿볼 수 있는 비례율은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제한 뒤, 종전자산평가금액으로 나눈 결과값이다. 모두 추정치에 불과해, 참고 용도로만 사용하면 된다. 조합원 분양 면적은 총 7개 타입으로, ▲39㎡(9.28억원) ▲45㎡(10.23억원) ▲59㎡(13.33억원) ▲84㎡(17.58억원) ▲114㎡(22.62억원) ▲135㎡(26.9억원) ▲150㎡(30.07억원)이다. 토지등소유자들은 개별 종전자산 추정액에 비례율(103.12%)을 곱한 뒤, 원하는 평형대의 조합원 분양가를 빼면 개략적인 추정분담금 수준을 알 수 있다. (+)
㈜부영주택이 용산구 한강로3가에 짓는 아세아아파트 사업부지 확보를 위한 소유권이전등기 소송을 진행 중인 가운데, 오는 5월 항소심 판결 선고기일이 잡히며 지난한 소송 과정도 결말이 나올 전망이다. 25일 업계 따르면 주민들이 ㈜부영주택을 상대로 제기한 소유권이전등기 항소심 변론이 지난 24일 진행된 가운데, 추가 변론기일 없이 5월 26일로 판결 선고일이 잡혔다. 이 자리에서 주민들의 소송 대리인을 맡은 법무법인 정의는 용도폐지절차 사실조회를 용산구청에 진행하고 추가 서면을 제출하겠다고 했으며, ㈜부영주택 대리인은 원심에서 결정된 사항이라 추가 제출 서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부영주택이 소송을 진행 중이었던 6개 필지의 면적은 총 314.9㎡로 아파트부지(28.4㎡)와 도로부지(286.5㎡)로 나뉜다. 토지 용도에 따라 도로부지는 수용재결을, 아파트부지는 매도청구 소송을 밟아왔다. 현재 도로부지는 수용재결을 거쳐 소유권 등기를 완료한 상황이며, 아파트부지와 관련된 소유권이전등기 소송은 작년 11월 1심에서 승소했다. 오는 5월 항소심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부영주택은 지난 2014년 약 3,260억원을 들여 용산구 한강로3가에 위치한 국방부 땅을 매입
GS건설-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시공사단으로 참여하는 공덕1구역 재건축 사업의 평당(3.3㎡) 공사비가 약 631만원 수준에서 결론이 났다. 당초 착공을 위한 최소 공사금액으로 613만원이 결정됐고, 공덕1구역 조합은 고급 마감재 사용 옵션을 택하면서 약 18만원이 추가됐다. 지난 2017년 도급계약서(평당 약 448만원) 대비 약 37% 증가하면서 비례율 하락에 따른 조합원들이 추정 분담금도 상향 조정될 전망이다. 25일 업계 따르면 공덕1구역 조합은 이달 9일 조합원들을 상대로 공사비 증액 관련 그간의 협의사항들을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조합원들이 고급 마감재 사용 옵션을 택하면서 평당 공사비는 631만원에서 협의점을 찾았다. GS건설(대표 주관사)과 현대건설은 지난해 착공을 위한 최소 공사비로 약 638만원을 제안했다. 시공사는 건설공사지수를, 조합은 소비자물가지수를 각각 공사비 증액기준으로 주장했다. 공덕1구역 조합은 작년 8월 기존 계약한 공사 도급계약 금액으로 착공을 먼저 진행하고 반영해야 할 사항은 추후에 협상한 후 반영하자는 입장이었으나, 시공사단은 공사비가 확정되지 않으면 착공 자체가 불가능함을 통보했다. 협상 장기화를 우려한 조합은 소비자물가
작년 7월 15일 관리처분총회 후 인가신청을 앞뒀던 한남3구역이 상가 분양신청자들의 '관리처분 총회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이 일부 인용되면서, 올해 3월로 예정됐던 관리처분인가 시점도 기일 없이 미뤄졌다. 최근 소송을 제기한 상가 분양신청자들 중 일부가 취하 결정을 내린 상황에서 조합은 조합원들로부터 탄원서를 걷어 재판부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23일 업계 따르면 한남3구역 조합은 ▲법무법인 광장 ▲신한피앤씨·창성씨앤디 ▲제일·삼창감정평가법인 ▲현대건설과 관리처분계획(안) 가처분 결정 관련 소송 내용을 분석한 결과, 재판부 결정이 법리적 해석의 차이가 아닌 잘못된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내려진 결정으로 판단했다. 이에, 조합의 가처분 이의 신청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조합원들로 하여금 탄원서 제출도 독려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상가 분양신청자들이 제기한 쟁점사항은 총 3가지로 ▲상가 100% 조합원 분양 미이행 ▲상가 분양신청 ▲상가 분양가격(현대백화점 특혜) 등이다. 우선, 분양신청 안내책자 문구(판매시설·근린생활시설은 전체 조합원 분양 가정)를 근거로 상가를 신청한 모든 조합원에게 분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조합은 서울시 도시정비조례 제38조 제2항에
개포주공5단지가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면서 건축물 높이 제한 특례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이 갖춰졌다. 23일 업계 따르면 개포주공5단지는 건축법 제69조 및 제73조에 의해 일조권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을 적용받지 않고 정비계획(안)을 수립하게 됐다. 현재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최고 높이 105m, 35층 이하로 건축이 계획돼 있다. 공동주택 14개동(최저 7층-최고 35층)이 지어질 예정이며, 총 1,277세대가 주택공급 예정 물량이다. 이중 조합원·일반분양 물량이 1,133세대며 임대주택은 144세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59㎡(195세대) ▲74㎡(77세대) ▲76㎡(59세대) ▲84㎡(462세대) ▲101㎡(285세대) ▲114㎡(127세대) ▲120㎡(67세대) ▲121-157㎡ 펜트리하우스(5세대) 등이다. 판상형은 3개동, 혼합형은 7개동, 타워형은 4개동이다. 다양한 층수계획(7층~35층)으로 주동의 높낮이를 조성하며 인근 단지와 조화로운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도록 계획이 잡혀 있다. 기준용적률은 210%며, 허용용적률은 추가 17%를 적용받아 227%다. 추가로 받은 용적률 17%는 ▲우수디자인(5%) ▲지속가능형건축구조(7%) ▲
여의도 대교아파트가 추진위원회를 출범하면서 재건축을 둘러싼 여러 난제를 헤쳐나갈 수 있을지 정비업계 관심이 모아진다. 아파트 소유주들의 과반수 동의에 힘입어 영등포구청으로부터 추진위원회 설립인가까지 받았지만, 대교 A·B상가를 제척하는 방향으로 정비계획(안)이 수립되면서 재건축 사업성 확보를 위한 주민들의 고심은 깊어질 전망이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서울시의 여의도 지구단위계획 발표가 예정돼 있다. 23일 업계 따르면 여의도 대교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 조합설립 추진위원회는 이달 25일(토) 오후 2시 여의도 침례교회에서 2023년 주민총회를 개최한다. 총회 안건은 ▲제1호 안건(기수행업무 및 기집행금액 승인의 건) ▲제2호 안건(추진위원회 제규정) ▲제3호 안건(자금의 차입) ▲제4호 안건(서울시 정비사업 융자금 신청) ▲제5호 안건(2023년 추진위원회 예산 승인의 건) 등이다. 추진위원회는 신속통합기획 주민제안을 위한 정비계획(안)을 주민총회에서 브리핑할 예정이다. 핵심 내용은 제3종일반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1단계 종상향 시켜 최대 440%의 용적률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공공기여 순부담률은 약 20%로 계획하고 있으며, 높이는 최고 200m로 개략적
강남구청 재건축사업과의 사무실이 강남구보건소 5층으로 이전됐다. 지구단위계획 공람공고나 재건축 관련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기존 강남구청이 아닌 강남구보건소로 오면 된다. 22일 업계 따르면 강남구청 재건축사업과는 이달 6일(월)부로 구청 제1별관 1층에서 강남구보건소 5층으로 사무실을 옮겼다. 강남구청역(7호선·수인분당선) 1번 출구에서 도보 5분 안팎에 위치한 초역세권으로 시민들의 접근성은 한층 향상됐다는 평이다. 재건축사업과는 김병문 재건축사업과장을 필두로 ▲재건축지원팀 ▲재건축관리팀 ▲재건축협력팀 ▲재건축기획팀이 배치돼 있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민선8기 조직 개편 당시, 역점 사업으로 '재건축 추진'을 1순위로 손꼽았다. 강남구청 재건축사업과는 재건축 외에도 가로주택정비사업과 민영주택건설사업도 총괄하고 있다. 다른 자치구가 재개발·재건축 사업과를 별도로 구축하고 있는 점과는 대비된다. 강남구는 재개발이 필요한 저층 노후화된 주거단지보다 재건축이 필요한 아파트 단지들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